본문 바로가기

이것저것 스터디📚/CS 스터디

(16)
HTTP 1.1 VS HTTP 2.0 HTTP 1.1 VS HTTP 2.0 HTTP 1.1 * HTTP 1.1 특징 - HTTP 1.0에서는 Connection 당 하나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보니 동시 전송이 불가능했고(하나의 요청에 대한 응답이 온 후 다음 요청을 처리하기 때문) 이는 네트워크 시간을 지연시키는 단점이 있었다. - 따라서, HTTP 1.1에서는 HTTP Pipelining이 도입하여 네트워크 시간을 줄이는 방식을 도입하였다. - HTTP Pipelining : 하나의 Connection으로 다수의 Request와 Response를 처리할 수 있게하는 것으로 HTTP 1.0과 달리 여러 요청들에 대한 응답 처리를 뒤로 미루는 방법을 사용한다. - 하지만, 이는 완전한 멀티플렉싱이 아닌 응답처리를 미루는 방식이므로 각 응답의..
HTTP GET과 POST 차이 - HTTP GET과 POST는 웹에서 데이터를 서버에 보내거나 서버에서 데이트를 받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한 HTTP 메서드이다. GET과 POST 차이 1. 목적 - GET : 서버에 어떠한 리소스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서드이다. - POST : 서버로 리소르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하기 위해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되는 메서드다. 2. 데이터 전송방식 - GET : URL 주소 끝에 파라미터로 포함되어 전송되며, 이 부분을 쿼리 스트링(query string)이라고 부른다. 예를 들어 www.example.com/show?name1= value1&name2=value2 의 경우 서버에서는 name1과 name2라는 파라미터 명으로 각각 value1과 value2의 파라미터 값을 전달..
쿠키와 세션 - HTTP는 Connectionless(비연결지향)과 Stateless(상태 비유지)의 특징을 갖는다. - 하지만, HTTP 통신을 할 때 실제로 데이터 유지가 필요한 경우(로그인 상태와 같은 상태 유지 필요)가 있고 이때 쿠키와 세션을 사용한다. 쿠키(Cookie) * 쿠키란? - 쿠키는 클라이언트(브라우저)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이다. -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으며,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다. -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로컬에 저장했다가 참조한다. - 쿠키는 사용자가 따로 요청하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Request시 Request Header를 넣어서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한다. * 쿠키 구성요소..
HTTP 대신 HTTPS를 사용해야하는 이유 HSTS(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) - Web Site에 접속할 때, 강제적으로 HTTPS Protocol로만 접속하게 하는 기능이다. - 즉, HTTPS Protocol을 지원하는 웹 사이트에서 HTTPS Protocol만을 사용해서 통신할 수 있음을, 접속하고자 하는 브라우저에게 알려주고 브라우저에게 HTTPS Protocol만 사용하도록 강제하는 기능이다. - 이는 해커와 같은 공격자가 중간자공격을 하여 중간에 Proxy Server를 두고, 사용자와는 HTTP 통신을 하고 실제 웹 사이트와는 HTTPS 통신을 해도 사용자는 이를 인식하지 못하며, 사용자와 실제 웹 사이트가 주고 받는 모든 정보는 공격자에게 노출되게 된다. 이를 SSL Stripping 공격이라고 하며..
REST API - REST API : REST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API를 말한다. 1. 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란? - REST는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. - HTTP URI(Uniform Resource Identifier)를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 - HTTP Method(POST, GET, PUT, DELETE, PATCH 등)를 통해 - 해당 자원(URI)에 대한 CRUD(Create, Read, Update, Delete)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. 2. REST 구성 1) 자원(Resource) : HTTP URI 2) 자원에 대한 행위(Verb) : HTTP Method 3) 자원에 대한 행위의 ..
AJAX란? 1. AJAX(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) - 비동기식 자바스크립트와 xml의 약자 -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 서버와 브라우저가 비동기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 - JSON이나 XML 형태로 필요한 데이터만 받아 갱신하기 때문에 웹 페이지 전체를 다시 로딩하지 않고도, 웹 페이지의 일부분만을 갱싱할 수 있다. - Ajax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 요소는 XMLHttpRequest 객체이며, 이는 웹 브라우저가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할 때 사용된다. * 서버와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. - JSON - XML - HTML - 텍스트 파일 등 * Ajax 장점 - 웹페이지의 속도향상 : 페이지 전체가 아닌 필요한 부분만 업데이트할 수 있기 ..
웹 서버와 WAS(Web Application Server) 1. 웹 서버(Web Server) -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(사용자)가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여 어떤 페이지를 요청하게 되면 http 요청을 받아들여 HTML 문서, CSS, 이미지, 파일 등과 같은 정적인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. - 웹 서버는 저장된 웹 리소스들을 클라이언트로 전달하고,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아 저장하거나 처리한다. - 만약 사용자로부터 동적인 요청이 들어왔을 때 해당 요청을 웹 서버 자체적으로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해당 요청을 WAS에게 요청한다. - 대표적인 웹 서버 종류 : Apache, Nginx 등 2. WAS(Web Application Server) - WAS는 웹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환경을 만들어 동작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..
CORS란 무엇인가? 1. CORS(Cross-Origin Resource Sharing) - CORS는 출처가 다른 자원들을 공유한다는 뜻으로, 한 출처에 있는 자원에서 다른 출처에 있는 자원에 접근하도록 하는 개념이다. - 즉,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(CORS)는 추가 HTTP 헤더를 사용하여, 한 출처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의 선택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도록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체제이다. - 브라우저에서는 보안적인 이유로 cross-origin HTTP 요청들을 제한하는데, cross-origin 요청을 하려면 서버의 동의가 필요하다. 만약 서버가 동의한다면 브라우저에서 요청을 허락하고, 동의하지 않으면 브라우저에서 거절한다. - 이렇게 허락을 구하고 거절하는 매커니즘을 HTTP-h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