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Keep-Alive 헤더 : 송신자가 연결에 대한 타임아웃과 요청 최대 개수를 어떻게 정했는지에 대해 나타낸다.
- Keep-Alive 헤더를 위해서는 Connection 헤더는 keep-alive로 설정되어야 한다.
- parameters
- timeout : 유효 연결이 계속 열려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시간(초 단위)을 가리킨다.
- max : 연결이 닫히기 이전에 전송될 수 있는 최대 요청 수를 가리킨다.
- HTTP는 TCP 위에서 동작을 하는데, TCP 전송이 끝나면 연결이 끊어지듯이 HTTP도 서로 전송이 끝나면 연결이 끊어진다. 그렇다면 매번 똑같은 주소로 요청을 할 때마다 새로운 연결을 설정해야 한다면 자원이 낭비된다. 이런 문제를 막고자 Keep-Alive가 생겼다. Keep-Alive는 클라이언트측에 연결을 유지하라는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 사용하는데, 최소 특정 시간동안(timeout) 최대 요청(max)의 요청의 수를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. Keep-Alive는 HTTP 1.1부터 사용할 수 있으며 응답 헤더에 Keep-Alive 정보를 실어 보낸다.
'이것저것 스터디📚 > CS 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 서버와 WAS(Web Application Server) (0) | 2023.10.16 |
---|---|
CORS란 무엇인가? (1) | 2023.10.16 |
HTTP 1.0과 HTTP 1.1의 차이 (0) | 2023.09.18 |
HTTP 프로토콜 (0) | 2023.09.11 |
3-way handshake, 4-way handshake (0) | 2023.09.11 |